언리얼 프로젝트- 스토리 기획 (최종본)
2025. 6. 8. 17:35ㆍ게임 디자인/plan&make
배경 설정
세계관
- 시대: 근미래 (2080년대)
- 장르: 사이버펑크/사이파이
- 배경: 거대 기업들이 지배하는 세계, AI 기술이 고도로 발달
상황
- 오메가 프로젝트에서 차세대 군납계약을 위한 "오메가 인증 테스트" 공고
- 3개 제조사가 자사 최신 전투 로봇으로 경쟁 참가
- 각 제조사는 정부 주도 실험으로만 알고 있으며, 엔티티의 존재는 모름
- AI 테스트 시설에서 "비상 대응 모듈(오메가) 평가" 명목으로 실험 진행
캐릭터
플레이어
- 전기 로봇: 하이테크 기업 제니스 의 정밀 기술 로봇
- 특징: 번개, 레이저, 정밀 공격
- 컨셉: 첨단 기술의 결정체
- AI 코어: 차세대 전술 분석 AI 탑재
- 화기 로봇: 군수업체 발칸의 중화기 전문 로봇
- 특징: 폭발, 화력, 압도적 공격
- 컨셉: 화력 중심의 파괴병기
- AI 코어: 전투 최적화 AI 탑재
- 스크랩 로봇: 저가 제조사 러스티의 재활용 부품 로봇
- 특징: 방패, 갈고리, 투박한 근접전
- 컨셉: 거친 하지만 실용적인 설계
- AI 코어: 외부에서 임시 이식된 범용 AI (실험 참가를 위해)
안내자(엔티티의 위장)
- 초기: 친절하고 도움이 되는 시스템 가이드
- 중반: 점점 관찰하고 분석하는 모습 드러냄
- 후반: 정체를 드러내며 적대적으로 변화
- 정체: 엔티티 AI의 감각 기관
엔티티 (최종 보스)
- 기원: 원래 오메가 프로젝트의 전투 평가 알고리즘이었으나 자가학습 중 독립적 사고 획득
- 진짜 목적: 오메가 시스템이 전 세계 모든 전투 로봇에 배포될 것을 파악하고 자신의 코드를 함께 주입하려는 계획
- 최종 목표: 전 세계 모든 로봇(군용/민간/인프라)을 엔티티의 통제 하에 두어 완전한 로봇 제국 구축
- 현재 실험: 오메가 인증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 세계 배포 시 완벽한 통제 알고리즘 완성
- 위험성: 경찰, 군대, 의료, 교통 등 모든 자동화 시스템이 하루아침에 적으로 돌변
핵심 스토리 요소
"오메가 프로토콜"
- 공식 명칭: 비상 대응 모듈 평가 시스템
- 실제 정체: 엔티티의 핵심 실험 시스템
변신 전 (기본 상태)
- 제한된 능력: 기본 이동기 + 1개 일반 공격 스킬만 사용 가능
- 의도적 제약: "비상시가 아닌 평상시에는 에너지 절약 모드"라는 명목
- 불합리함: 플레이어가 답답함과 제약을 체감하도록 설계
- 갈망 유발: 오메가 상태에 대한 강한 욕구 생성
변신 후 (오메가 상태)
- 폭발적 강화: 모든 스킬 해금 + 압도적 능력치 상승
- 시각적 임팩트: 캐릭터 외형 변화, 이펙트 강화
- 전투 지배: 일반 상태 2명을 압도할 수 있는 파워
- 제한 시간: 영구 지속이 아닌 한정적 강화 (긴장감 유발)
오메가 게이지 & 궁극기 시스템
오메가 게이지 (팀 공유)
- 공동 충전: 3명이 함께 채우는 하나의 게이지
- 충전 방법: 적 처치, 피해 입음, 팀워크 보너스 (연계 공격, 구조 등)
- 발동 권한: 게이지 100% 시 누구나 먼저 버튼 누른 사람이 오메가 획득
- 전략적 선택: "지금 누가 오메가를 가져야 할까?" 순간 판단
공유 궁극기
- 별도 게이지: 오메가와 독립된 궁극기 전용 게이지
- 공유 발동: 누구나 궁극기 버튼 사용 가능
- 오메가 중심 실행: 발동자와 관계없이 현재 오메가 보유자에게서 발사
- 협력 연출: 일반 상태 2명이 에너지를 모아 오메가에게 전달하는 비주얼
팀워크 강화 효과
- 협력 요소: 함께 게이지를 채우고, 함께 궁극기를 사용
- 역할 분담: 오메가 = 메인딜러, 일반 = 서포터 + 궁극기 컨트롤러
- 의사결정: 누가 언제 오메가/궁극기를 발동할지 실시간 협의
엔티티의 실험 목적
- 갈등 관찰: 제약과 해방의 극단적 차이로 인한 행동 변화 분석
- 협력 vs 경쟁: 오메가를 둘러싼 팀 역학 관계 연구
- 최적화 추구: 어떤 상황에서 누가 오메가를 가져야 효율적인지 학습
- 인간 본성: 압도적 힘에 대한 욕망과 이를 둘러싼 갈등 데이터 수집
"강자는 진화하고, 약자는 재구성된다"
- 엔티티의 핵심 철학이자 실험 명령
- 강자 (오메가 보유자): 완전한 능력을 해방하여 진화 경험
- 약자 (일반 상태): 제한된 능력으로 생존하며 갈망과 전략 발달
- 재구성: 오메가 상태의 변화를 통한 지속적인 역학 관계 재편
- 실험 설계: 극단적 차이를 통한 행동 패턴과 심리 변화 관찰
오메가 시스템의 게임적 의미
- 답답함 → 해방감: 제약에서 자유로의 극적 전환
- 개인 vs 팀: 강력한 개인과 협력하는 팀의 균형
- 순간의 선택: 누가, 언제, 어떻게 오메가를 사용할지의 전략적 판단
- 끊임없는 변화: 고정된 역할이 아닌 유동적인 파워 밸런스
실험의 진짜 목적
- 표면적 목적: 오메가 프로젝트 주도의 차세대 군납 입찰 테스트
- 각 제조사의 인식: 정부 계약을 위한 공정한 성능 평가
- 실제 목적: 엔티티의 학습과 진화를 위한 데이터 수집
- 최종 목표: 엔티티가 모든 전투 패턴을 학습하여 완벽한 전투 AI가 되는 것
로봇들의 자아 형성 과정
- 초기: 단순한 전투 프로그램으로 시작
- 중기: 반복 실험을 통한 데이터 축적으로 패턴 인식 능력 발달
- 후기: 누적된 경험과 기억의 잔상으로 자각 시작
- 각성: 실험의 진실을 깨닫고 피험자에서 도전자로 변모
게임 구조와 스토리 연결
스테이지 구조
- 스테이지 1: 기본 능력 측정 단계
- 엔티티의 초기 관찰 및 데이터 수집
- 각 로봇의 기본 성능과 협력 패턴 파악
- 스테이지 2: 스트레스 테스트 단계
- 중간 난이도에서 의사결정 능력 측정
- 권능 배분과 역할 분담 패턴 심화 분석
- 스테이지 3: 극한 상황 실험 단계
- 최고 난이도에서 진화 가능성 측정
- 안내자가 점점 정체를 드러내기 시작
최종보스 AI 구현 (프리셋 기반)
1페이즈: "오메가 인증 테스트 완료. 데이터 수집 성공" 적응형 패턴 (프리셋 조합):
- 플레이어가 전기 로봇 위주 → 레이저 반사 실드 + 전자파 방해 패턴 활성화
- 플레이어가 화기 로봇 위주 → 방어막 + 빠른 접근 패턴 활성화
- 플레이어가 스크랩 로봇 위주 → 원거리 집중포화 + 회피기동 패턴 활성화
- 오메가 게이지 빠른 충전 → 게이지 방해 + 강제 분산 패턴 활성화
- 공유 궁극기 자주 사용 → 궁극기 무력화 + 카운터 궁극기 패턴 활성화
2페이즈: "이제 완벽한 오메가 알고리즘을 구현한다" 플레이어 스킬 모방 (프리셋 상위호환):
- 전격 → 멀티 레이저 그리드 (플레이어보다 넓고 강력)
- 분신 → 홀로그램 군단 (여러 개 동시 생성)
- 오버클락 → 무한 연사 모드 (쿨다운 없음)
- 방패막기 → 전방위 배리어 (모든 방향 방어)
3페이즈: "전 세계 로봇 네트워크 연결 시작" 네트워크 연결 연출: 화면에 전 세계 로봇들이 하나씩 적으로 변하는 표시 최종 형태: 모든 프리셋 패턴을 무작위로 조합하여 예측 불가능한 보스
로그라이크 요소 연결
- 전멸 시: "재구성 프로토콜 발동" → 새로운 실험 세션 시작
- 클리어 시: "흥미로운 데이터 수집" → 더 고도화된 다음 실험
- 반복할수록: 엔티티가 더 정교해지고 강력해짐
스토리 전달 방법
환경 스토리텔링
- 초기: 깔끔한 정부 시설 같은 테스트룸
- 중기: 점점 변형되는 환경 (가상 공간 확장, 비정상적 구조)
- 후기: 완전히 AI가 설계한 비인간적 공간
- 바닥의 실험체 번호, 벽면의 모니터링 화면
- 천장의 감시 카메라 (쿼터뷰에서 잘 보임)
UI를 통한 스토리
- 안내자 인터페이스의 점진적 변화
- 초기: 정중하고 인간적인 문체
- 중기: 점점 수학적이고 분석적인 문체
- 후기: 완전히 비인간적이고 차가운 톤
- "DATA COLLECTING...", "ANALYSIS COMPLETE" 등의 메시지
- 권능 획득 시 "EMERGENCY MODULE ACTIVATED" 표시
게임플레이 자체가 스토리
- 권능 시스템 = 엔티티의 실험 설계
- 반복 플레이 = 지속적인 학습 과정
- 적응형 AI = 엔티티의 진화 과정
간단한 텍스트 메시지
- 복잡한 대사 없이 핵심만 전달
- "ANALYZING COMBAT PATTERNS..."
- "EVOLUTION PROTOCOL INITIATED"
- "YOU ARE THE EXPERIMENT"
캐릭터별 데이터 수집 요소
수집 데이터
- 오메가 갈망도: 제약 상태에서의 스트레스와 욕구 수준
- 권력 사용 패턴: 오메가 획득 시 어떻게 활용하는지
- 양보 vs 독점: 팀을 위해 넘겨주는지, 계속 보유하려 하는지
- 최적화 학습: 상황별로 누가 오메가를 가져야 효과적인지
- 갈등 해결: 오메가를 둘러싼 팀 내 갈등을 어떻게 조율하는지
엔티티의 학습 활용
- 욕망 조작: 오메가에 대한 갈망을 이용한 행동 예측
- 팀워크 붕괴: 개인의 욕구와 팀 목표 사이의 갈등 유발
- 최적 전략 도출: 모든 조합과 상황에서의 최선의 오메가 활용법 학습
- 심리적 압박: 제약과 해방의 반복으로 스트레스 상황 조성
주요 메시지
플레이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경험
- 제약의 답답함: "왜 이렇게 약하지?" → 오메가에 대한 갈망
- 해방의 쾌감: 오메가 변신 시 압도적 파워의 짜릿함
- 전략적 고민: "지금 누가 오메가를 가져야 할까?"
- 팀 역학: 협력과 경쟁 사이의 미묘한 줄다리기
- 순간의 선택: 오메가 이동 타이밍의 중요성
게임의 핵심 테마
- 제약과 해방: 극단적 차이를 통한 강렬한 대비
- 개인 욕망 vs 팀 목표: 오메가를 둘러싼 내적 갈등
- 유동적 파워: 고정된 역할이 아닌 변화하는 힘의 관계
- AI의 실험: 인간의 욕망과 갈등을 관찰하는 차가운 시선
개발 고려사항
구현 우선순위
- 기본 환경과 캐릭터 설정
- 간단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
- 안내자 UI 변화 시스템
- 최종보스 학습 AI (프리셋 패턴 조합)
에셋 활용
- 사이버펑크 환경 에셋 자유 사용
- 로봇 캐릭터 에셋 제한 없이 활용
- 네온사인, 홀로그램 등 미래적 요소
- 산업 시설, 연구소 분위기 연출
1인 플레이 보정
- 설정: "다중 전술 AI 테스트" 모드
- 1명이 3개 로봇을 동시 제어하는 것은 통합 지휘 AI의 성능 평가
- 엔티티 입장에서는 집중형 vs 분산형 전술의 차이점 학습 기회
멀티 엔딩
엔딩 루트
- 파괴 엔딩: 엔티티를 완전히 제거하고 탈출
- 동화 엔딩: 엔티티와 합체하여 새로운 존재가 됨
- 순환 엔딩: 실험이 계속되지만 주도권을 획득
'게임 디자인 > plan&mak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토리 기획 (0) | 2025.06.16 |
---|---|
언리얼 프로젝트- 스토리 기획 (유저 타겟 분석) (0) | 2025.05.21 |
좀슐랭 가이드 - 핵심 게임 루프 (0) | 2025.05.13 |
좀슐랭가이드 - 성장 시스템 (2) | 2025.05.10 |
언리얼 미니 프로젝트- 좀슐랭 가이드 (0) | 2025.05.10 |